Python/basic 6

파이썬(Python) type 함수

type 함수를 쓰면 값의 자료형을 확인할 수 있다. 예시1. 숫자 print(type(3)) print(type(3.0)) print(type("3")) 3은 정수형이다. 따라서 정수를 뜻하는 단어 interger을 줄인 int가 출력된다. 3.0은 소수형이다. 따라서 소수를 뜻하는 단어 floating point을 줄인 float가 출력된다. (파이썬에서는 3과 3.0을 다른 타입으로 인식한다.) "3"은 따옴표가 있기 때문에 문자열이다. 따라서 문자열을 뜻하는 단어 string을 줄인 str이 출력된다. 예시2. 불린 print(type("True")) print(type(True)) 따옴표에 둘러싸인 True는 문자열이다. 따라서 string의 줄임말인 str이 출력된다. 따옴표 없는 True는 ..

Python/basic 2022.09.03

파이썬(Python) 불 대수와 불린형

명제의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논리 자료형인 불린(Boolean) 1. 불 대수 불 대수의 값 - 불 대수에서 사용하는 값은 명제의 참, 거짓을 나타내는 진리값인 True와 False 불 대수의 연산: AND, OR, NOT 더보기 AND 연산 (x와 y가 모두 참일 때만 x AND y가 참) x y x AND y True True True True False False False True False False False False 더보기 OR 연산 (x와 y 중 하나라도 참이면 x OR y는 참) x y x OR y True True True True False True False True True False False False 더보기 NOT 연산 x NOT x True False False True ..

Python/basic 2022.06.26

파이썬(Python) 문자열 포맷팅

복잡한 문자열 출력을 위한 문자열 형식화(string formatting) 방법 3가지 1. Format 메소드 (많이 사용하는 방법) 예시1 print("저는 {}, {}, {}를 좋아합니다.".format("딸기", "포도", "오렌지")) 저는 딸기, 포도, 오렌지를 좋아합니다. 더보기 예시1: {} 안에 값의 순서를 지정하는 숫자 넣기 - 숫자를 0부터 세기 때문에 차례대로 딸기가 0, 포도가 1, 오렌지가 2의 위치 값을 가진다. print("저는 {2}, {0}, {1}를 좋아합니다.".format("딸기", "포도", "오렌지")) 저는 오렌지, 딸기, 포도를 좋아합니다. 예시2 year = 2022 month = 6 day = 25 print("오늘은 {}년 {}월 {}일입니다.".form..

Python/basic 2022.06.25

파이썬(Python) 형 변환

형 변환 (Type Conversion 혹은 Type Casting) : 값을 한 자료형에서 다른 자료형으로 바꾸는 것. 1. 숫자형 간의 형 변환 소수 → 정수 정수는 영어로 'integer'라고 한다. 파이썬 내장함수인 int()을 사용하면 소수형을 정수형으로 바꾸어줄 수 있다. print(int(7.7)) 7 정수 → 소수 소수는 영어로 'floating point'라고 한다. 파이썬 내장함수인 float()을 사용하면 정수형을 소수형으로 바꾸어줄 수 있다. print(float(7)) 7.0 2. 숫자형과 문자열 간의 형 변환 문자열 → 숫자형 문자열을 숫자형으로 바꾸기 위해서도 int(), float()를 사용한다. print(int("3") + int("5")) print(float("1.5"..

Python/basic 2022.06.19

파이썬(Python) 문자열 연산과 따옴표 넣기

파이썬에서 문자열(string)을 연결하고 반복하는 방법과 문자열 안에 따옴표를 넣는 방법 1. 문자열 연산 문자열 더하기 (Concatenation) - 문자열끼리 연결해 준다. 여기서 '7'은 숫자형이 아니라 문자열이므로 14가 아니라 77이 출력된다. # 문자열 연결 (Concatenation) print('Hello' + 'World!') print('7' + '7') HelloWorld! 77 문자열 곱하기 - 문자열에 숫자를 곱하면 그 숫자만큼 문자열을 반복해 준다. # 문자열 곱하기 print('=' * 15) print('Hello' * 3) print('=' * 15) =============== HelloHelloHello =============== 2. 문자열 안에 큰따옴표와 작은따..

Python/basic 2022.06.10

파이썬(Python) 숫자형 연산

파이썬으로 정수형(integer)과 소수형(floating point)의 덧셈, 뺄셈, 곱셈, 거듭제곱 그리고 나눗셈과 몫, 나머지를 구하는 방법 1. 덧셈, 뺄셈, 곱셈, 거듭제곱 연산자: +, -. *, ** # 덧셈 print(2 + 4) # 뺄셈 print(5.0 - 7.0) # 곱셈 print(9.0 * 3) # 거듭제곱 print(2 ** 3.0) 실행 결과: 정수형 간의 연산만 결과값으로 정수형이 나옴. 6 -2.0 27.0 8.0 2. 나눗셈 연산자: / # 나눗셈 print(4 / 2) print(4 / 2.0) print(9.0 / 3) print(9.0 / 3.0) 실행 결과: 결과값으로 소수형이 나옴. 2.0 2.0 3.0 3.0 3. 몫, 나머지 연산자: //, % # 버림 나눗셈..

Python/basic 2022.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