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함수를 쓰면 값의 자료형을 확인할 수 있다. 예시1. 숫자 print(type(3)) print(type(3.0)) print(type("3")) 3은 정수형이다. 따라서 정수를 뜻하는 단어 interger을 줄인 int가 출력된다. 3.0은 소수형이다. 따라서 소수를 뜻하는 단어 floating point을 줄인 float가 출력된다. (파이썬에서는 3과 3.0을 다른 타입으로 인식한다.) "3"은 따옴표가 있기 때문에 문자열이다. 따라서 문자열을 뜻하는 단어 string을 줄인 str이 출력된다. 예시2. 불린 print(type("True")) print(type(True)) 따옴표에 둘러싸인 True는 문자열이다. 따라서 string의 줄임말인 str이 출력된다. 따옴표 없는 True는 ..